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전문 분석

퓨릿 주가 전망 반도체 디스플레이 케미컬 관련주 완벽해부 (삼성전자 공급사)

by 스타이코노미스트 2024. 6. 8.
퓨릿 썸네일


퓨릿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산업용 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2010년 1월에 ㈜신디프테크놀러지로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산업용 및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유기용제의 회수 및 정제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2015년과 2016년에 반도체 포토 공정 세정용 소재의 원료인 반도체급 PGMEA, PGME 생산 및 공급을 시작하면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케미컬 제품 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했습니다.

목차

  • 퓨릿 역사와 주요 연혁
  • 투자포인트
  • 리사이클링 사업의 진입장벽
  • 실적 추이 및 전망
  • 2024년 실적 전망
  • 주가전망 및 결론

퓨릿 역사와 주요 연혁

2017년에는 자동차 코팅제, 고급 페인트 등의 원료인 공업용 EEP를 국산화하여 합성 생산 및 공급을 개시했으며, 2018년에는 반도체급 EEP 정제를 시작하는 등 반도체급 소재 개발 및 기술을 축적했습니다.

2019년 4월에는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및 주식양수를 통해 최대주주가 한국알콜산업㈜으로 변경되며 한국알콜 그룹에 편입되었고, 그룹 계열사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장하면서 외형을 확대했습니다. 2019년 7월에는 제2공장을 신설하며 제품군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같은 해 9월에는 2차 전지 폐액 NBA 정제 사업을 개시했습니다. 2020년에는 MLCC 공정 케미컬 SBA 재생 사업과 반도체급 EEP 합성 생산 및 공급을 개시했습니다.

2021년에는 반도체급 EL 합성을 생산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에는 반도체 케미칼 폐액 재활용 SR 공급을 개시했습니다. 2023년에는 2월에 퓨릿으로 상호를 변경하고, 같은 해 10월에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습니다.


투자 포인트 1: 반도체 가동률 회복세

반도체 업황의 회복에 따라 고객사들의 가동률 상승으로 퓨릿의 소재 수요 확대가 기대됩니다. 반도체 케미컬은 퓨릿 매출의 약 60%를 차지하는 주요 사업군입니다. 반도체 소재의 수요는 반도체 생산업체의 가동률에 따라 결정되며, 최근 반도체 업체들의 가동률은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반도체 업체들의 강력한 감산을 통해 수급 개선을 꾀하였으나, 이는 Process Chemical의 수요 감소로 이어졌고, 퓨릿의 실적도 부진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AI 수요 강세에 따른 HBM 생산 확대로 DRAM의 가동률이 4Q23부터 회복되고 있으며, NAND는 1Q24부터 일부 회복되기 시작해 2Q24에는 eSSD 수요 증가로 가동률 회복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DRAM과 NAND의 가동률 회복

DRAM의 경우 꾸준한 가동률 회복으로 3Q24에는 감산 이전 수준의 CAPA로 돌아갈 것으로 예상되며, NAND는 제한적인 폭에서 가동률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DRAM은 HBM 생산 확대가 CAPA Loss를 유발하지만, NAND는 eSSD 생산 확대에 따라 Wafer CAPA 감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DRAM은 HBM 생산 확대로 감산했던 라인 가동률을 회복시키고, CAPA Loss 보완을 위한 선단공정 신규 CAPA 투자가 이루어질 것입니다.

신규 CAPA 투자와 소재 수요 증가

국내 메모리 가동률 회복으로 퓨릿의 소재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하반기에 착공될 충남 예산 제3공장은 2026년 상반기 가동 예정으로, 총 생산 CAPA는 기존 대비 약 2.5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 포인트 2: 삼성전자향 EEP와 EL 공급 확대

퓨릿은 삼성전자향 EEP와 EL 공급을 통해 제품 및 고객사 비중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PGME와 PGEMA는 SK하이닉스향 공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EL과 EEP는 삼성전자향으로 공급되고 있습니다.

EL과 EEP의 국산화 및 기술력

EL은 그동안 외산 업체가 전량 공급하던 소재로 퓨릿이 국산화의 일환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 업체 중 EL을 생산하는 유일한 업체인 퓨릿은 EEP 역시 국산화가 진행 중입니다. P3 등 신규 Fab 중심으로 소재를 공급하며, PR(Photo Resist) 원재료로도 Dupont향 공급을 개시했습니다. PR용 소재는 높은 순도가 요구되며, 신너 대비 고부가제품으로 매출 확대에 따른 이익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투자 포인트 3: 2차전지와 재생산업으로 시장 다변화 시도

퓨릿은 리사이클링 사업과 2차 전지 소재로 제품 다변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폐액 케미컬을 정제하여 산업용 신액 케미컬로 만드는 리사이클링 사업을 추진 중이며, EP, MP, IBAC, NMP 등의 2차 전지 소재를 개발하여 고객사에 샘플을 공급한 상태입니다.

리사이클링 사업의 진입 장벽

리사이클링 산업은 폐기물종합처리업 허가권이 필요해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퓨릿은 경주 제1공장에서 리사이클링 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며, 연간 19,000톤의 CAPA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감가상각이 완료된 제1공장은 원가 경쟁력도 갖추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소재 개발

퓨릿은 2차전지 소재인 전해액 첨가제 및 양극재 바인더 용매를 개발 중이며, 2025년 양산이 개시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품질의 순도와 낮은 수분 함량이 요구되는 Ester 계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실적 추이 및 전망

퓨릿의 2023년 매출액은 1,20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2.3% 감소했으며, 영업이익은 128억 원으로 -10.1%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감산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소재 수요가 감소했으나, 삼성전자향 EL 공급과 EEP 점유율 상승으로 가동률 하락분을 일부 상쇄했습니다.

2024년 실적 전망

2024년 매출액은 1,3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0.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영업이익은 143억원으로 +11.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도체 가동률 상승과 신규 라인 투자로 반도체 소재 수요는 하반기로 갈수록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디스플레이 소재는 고객사 LCD 라인 축소로 수요 감소가 예상되지만, 반도체 소재 매출 비중 증가로 수익성은 소폭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주가 전망

퓨릿의 현 주가는 2024F PER 15.4x 수준으로, 상장 이후 PER Band 중하단에 위치해 있습니다. 반도체 소재 업체들의 2024F 평균 PER은 13.2x 수준이며, 퓨릿의 주가는 PER 12.2x~23.7x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밸류에이션 매력

퓨릿의 Valuation 확대를 위해서는 리사이클링 사업과 2차 전지 소재 사업 등 신사업으로 매출처 포트폴리오 다변화가 필요합니다. 신사업의 성공 여부에 따라 Valuation Premium을 추가적으로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퓨릿의 반도체 소재는 성장성과 수익성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입니다. 하지만 반도체 소재의 사용처가 편중되어 있어 고객사의 라인 가동률에 따라 실적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품 다변화와 기술력

퓨릿은 EL을 PR용 원재료로 Dupont으로 공급하며 제품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PR용 소재는 높은 순도가 요구되며, 신너용 소재 대비 고부가제품으로 매출 확대에 따른 이익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결론

퓨릿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산업용 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해 왔습니다. 반도체 가동률 회복, 삼성전자향 EEP와 EL 공급 확대, 2차 전지와 재생산업으로 시장 다변화를 통해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반도체 소재의 사용처 편중과 고객사 라인 가동률에 따른 실적 변동 리스크를 주의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리스크를 고려하며 신사업의 성공 여부를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투자는 지혜와 인내의 예술이다"라는 속담처럼, 퓨릿의 미래를 기대하며 신중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반도체와 화학 산업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다양한 리스크 요인을 분석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